C언어 개인노트#007
문자열형 변수 문자열형 변수는 문자형 변수와 유사하지만 저장과 계산의 효율성을 위해 몇가지 규칙이 포함되어 있어요. #include main () { char a [5] = {'K','O','R','E','A'}; printf("%c \n",a[1]); printf("%s \n",a); char b[6] = {'K','O','R','E','A','\0'}; printf ( "%s\n", b); char c[6] = "KOREA"; printf ( "%s\n", c); } 위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도록 합시다. a[1]이 출력하는 문자는 O 였습니다. 따라서 K는 a[0]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 printf("%s \n",a); 에서 우리가 지정한 a[5]는 K에서 시작하지만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다른..
2020. 5. 11.
C언어 개인노트#005
자료형 자료형은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형태로, 저장되는 값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변수에 저장하는 값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른 자료형을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include main() { int a = 30; float b = 3.14; char c = 'A'; char d [6] = { 'K', 'O', 'R', 'E', 'A', '\0' }; printf("%d %f %c %s\n",a,b,c,d); } int a 는 'a'라는 변수에 10진 정수를 저장하기 위해 4byte의 메모리를 할당하라는 의미다. 따라서 저장되는 값은 10진수에서 2진수 형태로 변환되어 a에 저장된다. int는 정수형 변수, float는 실수형 변수, char은 문자형 변수다. 자료형..
2020. 5. 7.
C언어 개인노트#004
상수와 변수에 대해 알기 위하여 소스코드를 작성했습니다. #include main() { printf("18 * 3 - 10 = 44\n"); int a=18, b=3, c=10; printf("%d * %d - %d = %d\n", a,b,c,a*b-c); a=a*b-c; printf("a의 메모리 [%d]=%d\n",&a,a); } 가장 위쪽의 printf는 "18 *3 - 10 = 44"라는 문장을 출력하는 함수다. \n은 줄바꿈이다. a,b,c 값을 각각 18 3 10으로 대입한다. &a는 a의 주소를 가리키는 말이다. & 변수이름 앞에 &를 붙이면 그 변수의 주소를 나타낸다. &는 변수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상수 앞에서처럼 18, 3, 10 과 같이 수나 문자와 같은 값 자체를 ..
2020.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