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자료형
자료형은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형태로, 저장되는 값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변수에 저장하는 값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른 자료형을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include <stdio.h>
main()
{
int a = 30;
float b = 3.14;
char c = 'A';
char d [6] = { 'K', 'O', 'R', 'E', 'A', '\0' };
printf("%d %f %c %s\n",a,b,c,d);
}
int a 는 'a'라는 변수에 10진 정수를 저장하기 위해 4byte의 메모리를 할당하라는 의미다.
따라서 저장되는 값은 10진수에서 2진수 형태로 변환되어 a에 저장된다.
int는 정수형 변수, float는 실수형 변수, char은 문자형 변수다.
자료형에 따라 저장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범위가 결정되어 있다.
자료형의 크기와 범위
종류 | 자료형 | 메모리 크기 | 값의 범위 |
정수형 변수 | char(문자) | 1byte | -128~+128 |
int | 4byte | -2147483648~2147483647 | |
unsigned int | 4byte | 0~4294967295 | |
long long int | 8byte |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 | |
short | 2byte | -32768~32767 | |
실수형 변수 | float | 4byte | 3.4*10^-37~3.4*10^38(실수) |
double | 8byte | 1.7*10^-307~3.4*10^308(실수) |
반응형
'프로그래밍_개발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개인노트#007 (0) | 2020.05.11 |
---|---|
C언어 개인노트#006 (0) | 2020.05.11 |
C언어 개인노트#004 (0) | 2020.05.07 |
C언어 개인노트#003 (0) | 2020.05.07 |
C언어 개인노트#002 (0) | 2020.05.07 |
댓글